정보

부모님 병원 진료기록,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일상의리뷰 블로그 2025. 3. 26. 19:00
반응형

부모님 병원 진료기록,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부모님 건강관리를 챙기다 보면 “언제 무슨 병원에 다녀오셨지?”, “이 약은 왜 복용 중이지?” 같은 의문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고령이거나 치매 등으로 기억력이 저하된 부모님의 경우, 병원 진료 내역을 자녀가 대신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자주 발생합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가 강화되면서, 부모님의 진료 기록을 마음대로 열람하거나 출력할 수는 없습니다. 오늘은 보호자(자녀)가 부모님의 병원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합법적이고 안전한 절차를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병원 진료기록 확인이 필요한 상황

복용 중인 약 처방 이력 확인

실손보험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발급

의료 분쟁 혹은 전원(다른 병원으로 이동) 시 과거 내역 확인

건강검진 이력 파악 및 가족병력 관리

 

진료기록 확인 가능한 방법 3가지 (2025년 기준)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iN’ 서비스 이용 (온라인)

건강보험공단 건강iN 사이트에서는 본인의 병원 방문 이력과 건강검진 결과, 투약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 부모님의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 또는 본인 명의 휴대폰 인증 필요

 

▶ 확인 가능 내역:

병원 방문일자, 진료과목

약 처방 이력

건강검진 결과 및 이상소견

단, 가족이 대신 로그인하여 조회하는 방식은 ‘본인 동의 하에’ 가능하며, 공단 정책상 타인 조회는 제한됩니다.

 

② 병원에서 직접 진료기록 복사 요청 (오프라인)

병원 내원 시 아래 서류를 지참하면 보호자가 직접 병원 진료기록 사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필요서류:

환자(부모님) 신분증 사본

보호자 신분증

위임장 (자필 서명 필수)

환자 진료기록 열람 및 사본 발급 동의서

※ 고령, 의사소통 곤란, 치매 환자의 경우 진단서 또는 장기요양등급 판정서 추가 제출 시 간소화됨

 

③ 진료기록 요청 앱 또는 통합플랫폼 (시범서비스 단계)

최근에는 마이헬스웨이(MyHealthway) 등 보건복지부에서 운영 중인 의료정보 통합 플랫폼을 통해 진료기록을 통합 관리하는 시범서비스도 도입 중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진료이력, 처방약, 영상검사 결과 등을 연동 가능

부모님 본인 인증 후 보호자 앱 연동으로 제한적 열람 가능

※ 단, 병원마다 연동 여부 다름 → 활용 전 병원 문의 필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자녀가 건강보험공단에 전화해서 부모 기록 조회할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본인 확인이 가능한 인증수단을 통해서만 확인 가능합니다.

 

Q. 치매 환자인데 보호자인 제가 대신 열람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이 경우, 의료기관에 치매 진단서 또는 인지장애 관련 소견서, 보호자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제출하면 열람 및 발급 가능성이 높습니다.

 

핵심 요약

 

 

 

마무리 Tip

부모님의 병원 진료기록은 가족 간의 신뢰와 건강관리의 출발점입니다. 절차가 다소 복잡하더라도, 정확한 서류와 동의만 준비하면 합법적으로 보호자가 진료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약 복용 이력, 과거 진단명, 정기검진 결과 등을 꾸준히 관리하면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도 가능해집니다.

지금 바로 ‘건강iN’ 또는 가까운 병원에 문의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