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리뷰

직원 주휴수당 계산, 복잡하지 않게 정리한 예시 모음 (사장님 필독) 본문

정보

직원 주휴수당 계산, 복잡하지 않게 정리한 예시 모음 (사장님 필독)

일상의리뷰 블로그 2025. 3. 24. 10:26
반응형

직원 주휴수당 계산, 복잡하지 않게 정리한 예시 모음 (사장님 필독)

자영업을 하거나 직원을 둔 사업주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는 주 1회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하며, 이에 대한 수당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제대로 계산하지 않으면 체불 임금 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근로감독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사장님과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2025년 최저임금 기준에 맞춘 주휴수당 계산 공식과 예시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간 근로자에게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주 1회의 유급휴일(보통 일요일)에 대해 지급하는 수당입니다. 이는 ‘일을 하지 않아도 유급으로 처리되는 하루’로, 반드시 급여에 반영해야 하는 법적 의무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2025년 기준)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되기 위한 조건

1주일에 소정근로일(통상 15시간 이상)을 개근할 것

 

계약된 요일/시간을 모두 출근했을 것

근로계약서상 정한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일 것

※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주휴수당 대상이 아닙니다.

 

2025년 기준 주휴수당 계산 공식

▶ 주휴수당 =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

▶ 2025년 최저시급: 10,010원 (예상 기준)

 

 

실제 계산 예시 (2025년 시급 기준)

예시 1: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하는 알바생 (총 주 20시간 근무)

소정근로시간: 하루 4시간

주휴수당: 4시간 × 10,010원 = 40,040원 추가 지급

 

예시 2: 주 3일, 하루 5시간 근무 (총 15시간 근무)

조건 충족 (주 15시간)

주휴수당: 5시간 × 10,010원 = 50,050원 지급

 

예시 3: 주 2일, 하루 6시간 근무 (총 12시간)

주휴수당 대상 아님 (15시간 미만)

지급 의무 없음

 

예시 4: 정규직 근로자, 주 40시간 근무자

주휴일(일요일)도 하루 8시간 유급 처리

이미 월급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별도 명시 필요)

 

주휴수당은 언제 지급해야 하나요?

급여일에 기본급과 함께 포함하여 지급

급여 명세서에 주휴수당 명시 권장 (노동부 권고사항)

 

 

 

주휴수당을 주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위반 → 임금체불로 간주

고용노동부 진정 시, 체불금 + 지연이자 + 과태료 부과 가능

최근엔 주휴수당 미지급 건으로 퇴직금, 4대보험 소송 사례도 증가

 

 

마무리 정리

주휴수당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 법에서 정한 필수 수당입니다. 직원이 주 15시간 이상 성실히 근무했다면 정당하게 지급되어야 하며, 이를 정확히 계산하고 지급하는 것이 사장님과 사업체의 리스크를 줄이는 지름길입니다. 계산기를 쓰지 않더라도 위의 공식과 예시만 잘 익혀두면 실무에서도 어렵지 않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